토지를 거래하거나 지적도를 보다 보면 자주 접하게 되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‘필지’입니다. 처음 듣는 분들은 “1필지가 도대체 어느 정도 크기일까?” 궁금하실 수 있는데요. 이번 글에서는 ‘1필지’의 의미와 그 면적, 그리고 몇 평에 해당하는지까지 자연스럽고 쉽게 풀어드릴게요.
필지란 무엇인가요?
‘필지’는 토지를 구분할 때 사용되는 행정적인 단위입니다.
쉽게 말하면, 하나의 지번(주소)을 가진 독립된 토지 단위라고 보시면 됩니다.
예를 들어 누군가가 “이 땅은 한 필지예요”라고 말하면, 이는 하나의 지번 아래 등록된 하나의 토지 조각이라는 뜻입니다. 이 토지는 크기에 상관없이 지번 하나로 관리되고 있다는 뜻이죠.
필지의 정의 (국토교통부 기준) :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의 등록 단위로, 소유자, 지목, 면적 등이 동일하게 등록된 땅의 최소 단위”를 필지라고 정의합니다.
그럼, 1필지는 몇 평인가요?
여기서 중요한 점은 ‘1필지’는 면적 단위가 아니라 행정 단위라는 것입니다.
즉, 1필지가 꼭 정해진 평수(면적)를 가지는 것은 아닙니다.
예를 들어,
- 어떤 1필지는 30평일 수 있고,
- 또 다른 1필지는 3,000평일 수도 있습니다.
따라서 ‘1필지는 몇 평이다’라고 단정 지을 수 없고,
지적도나 등기부등본에서 해당 필지의 면적을 확인해야 정확한 평수를 알 수 있어요.
👉 정부24 토지이용계획확인서 발급 바로가기에서 필지별 면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1필지 면적 확인하는 방법
필지의 실제 크기(㎡ 또는 평수)를 알고 싶다면 아래 절차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.
- 정부24 홈페이지 접속
- ‘토지이용계획확인서’ 또는 ‘지적도’ 발급 메뉴 클릭
- 주소(지번)를 입력하여 해당 필지 선택
- 출력된 문서에서 면적(m²) 확인
- 1평 = 3.3058㎡이므로, 평으로 환산도 가능
예시:1필지가 330.58㎡라고 적혀 있다면,
→ 330.58 ÷ 3.3058 ≒ 100평
필지와 구획, 대지, 지번의 차이
용어 | 의미 |
필지 | 하나의 지번을 갖고 있는 땅의 단위 |
구획 | 개발이나 정비를 위해 인위적으로 나눈 구역 |
대지 | 건축이 가능한 토지 (지목이 '대'인 토지) |
지번 | 필지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주소 번호 |
정리하자면?
- ‘1필지’는 땅의 크기를 말하는 게 아니라, 땅을 구분하기 위한 최소 단위입니다.
- 면적은 필지마다 전부 다르며, 몇 평인지 알고 싶다면 ㎡를 확인한 후 평으로 환산해야 합니다.
- 정확한 면적 확인을 위해서는 정부24에서 토지이용계획확인서를 발급받는 것이 가장 빠릅니다.
함께 읽으면 좋은 글
필지를 이해하고 나면 토지 관련 서류나 정보를 읽을 때 한결 수월해집니다. 특히 매매나 분할 등을 고려하고 계시다면 이 개념을 꼭 숙지해두세요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논 1필지는 몇평일까? (0) | 2025.04.30 |
---|---|
1ha는 몇m2 일까? 알아보자 (0) | 2025.04.27 |
논 1마지기에 쌀이 몇가마나오는가요? (0) | 2025.04.26 |
논 밭 한마지기는 몇평일까? (0) | 2025.04.25 |
군인연금 수령액, 수령시기, 지급시기 총정리 (0) | 2025.01.30 |